공식명칭은 중화인민공화국이며 통상 줄여서 중국이라고한다. 중국이라는 이 명칭은 3천년 전 서주시대부터 사용되었는데
가장 오래된 기록은 맹자와 삼국지의 "촉지" 가운데 제갈량전에 나온다.
"중(中)"은 중앙. 중심이라는 뜻이며 이는 중국이 세계의 중앙, 중심이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중국인들의 의식근저를 가장 단편적으로 잘 나타낸 말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로는 People's Republic of China (PRC)로 표기한다
국장은 중앙에 다섯 개의 별이 비추고 있는 티엔안먼(天安門이 있고, 그 주위에는 톱니바퀴와 쌀, 밀의 이삭이 배치되어 있다. 티엔안먼은 5.4운동의 시발지이자 신중국 건국이 선언된 곳이기도 하다.
천안문은 중국의 민족정신을 상징하고 톱니바퀴와 이삭은 노동계급과 농민을 의미한다. 다섯 개의 별은 '중국 공산당 영도 하에 국민이 단결한다.'라는 뜻이다. 별 색깔은 황색, 바탕색은 홍색인데 별의 황색은 중화민족이 황색인종이라는 것을, 바탕의 홍색은 공산당 혁명을 의미한다.
국가인 <의용군 진행곡>은 극작가 티엔한(田漢)과 니에얼이 영화 <풍운아녀(風雲兒女>의 주제가로 작곡한 것으로, 항일전쟁 시기에 사람들에게 애창되다가 1949년 정치 협상회의에서 국가로 제정되었다. 문화 혁명 때 티엔한 (田漢)이 비판당하고 나서 잠시 동안 불려지지 않으나 1982년 말부터는 원상회복되었다.
면적: 960만(9,597,000)㎢ 세계 3번째, 한반도의 44배
- 남북: 흑룡강성 (북위57˚) <-> 해남도 (북위18˚) 5,500km
- 동서: 하바로프스키 (동경135˚)<->신장 위그르자치구(동경75˚) 5,500km
- 영해: 12해리(1958.9.4 선언, 1992.2.25 영해 및 접속수역법 제정공포)
- 국경선 총 길이: 20,280㎞(한국, 러시아, 몽골, 중앙아 3국, 아프카니스탄,
파키스탄, 인도,네팔, 부탄, 미얀마, 라오스, 베트남 등 14개 국가와 육지접경)
- 표준시: 북경시간 사용 (한국과 시차 1시간)
- 서고 동저형 지형
- 농지 10%, 초원 33% (이용 가능한 초원이 23%)
- 농가 1호당 경지 면적 : 0.5㏊ (한국 1.2㏊)
남부는 석회암이 침식된 카르스트 지형이고, 북서부는 건조한 사막지대가 대부분이다. 중국의 지형은 서고 동저형으로 크게 서부고원지대, 중원, 만주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황하, 양자강은 지세에 따라 태평양을 향해서 동으로 흐른다. 그러나 노강과 같이 남류하여 인도양으로 흐르는 강도 있고 신강의 엘테인 강과 같이 북류하여 북극해로 흐르는 강도 있다. 중국 서남부의 티베트 고원은 대부분 해발 4천 미터 이상이고 몽골의 신강 공원은 해발 1천 미터 안팎의 구조분지를 넓게 형성하며 중국면적의 4분의 3을 차지하고 있으나 고지와 사막이 대부분이어서 농경이 불가능하다. 중심부와 동북지방은 강이 많은데 동북지역의 흑룡강은 그 지류인 우수리강, 송화강을 끼고 강 자락을 따라 동북만주평원을 펼쳐놓고 있다. 황토지역을 흐르기 때문에 물 색깔이 퇴적되어 화북평야를 이루었고 "장강"이라 부르는 양자강은 중국에서 제일 긴 강으로서 총 연장 5천2백 킬로미터의 위용을 자랑하고 있다.
국토의 대부분이 온대 몬순권이나 영역이 크고 지형이 복잡하여 기후의 변화가 크다. 중국은 여섯 개의 온도대로 나누고 있다. 동북지방은 겨울이 길고 여름이 짧은 반면 남부지방인 해남성은 여름은 길고 겨울이 짧으며 동부 연해지방은 사계절이 분명하고 온난 다습하다. 남부의 해남성(海南省)은 연평균 기온24도의 아열대 기후인 반면 북부의 흑룡강성은 연평균기온 4℃의 냉대 기후권에 속하는 등 남북으로 큰 기후 차를 보이고 있다. 또한 북서쪽의 청해(靑海), 티벳, 신강(新疆)지역과 내몽고 지역은 고산기후를 나타내고 있다.
1. 행정구역(行政區域)
- 23성, 4직할시, 5자치구, 2특별자치구 (중국은 대만을 23번째 성으로 간주)
[23개 성]
☞ 화북구: 하북성, 산서성
☞ 서북구: 섬서성, 감숙성, 청해성
☞ 동북구: 요녕성, 길림성, 흑룡강성
☞ 화동구: 강소성, 절강성, 안휘성, 강서성, 복건성, 산동성
☞ 중남구: 하남성, 호북성, 호남성, 광동성, 해남성, 대만성
☞ 서남구: 사천성, 운남성, 귀주성
[4직할시] ☞ 북경, 천진, 상해, 중경
[5자치구] ☞ 내몽고, 신강위구르, 서장, 광서장족, 영하회족 자치구
[2특별자치구] ☞ 홍콩, 마카오
※ 1997.7.1, 영국으로부터 홍콩을 인수 받아 특별 특별행정구 설치
※ 1999.12.20, 포르투갈로부터 마카오 인수 받아 특별행정구 설치
2) 주요 권역 별 현황(主要 圈域別 現況): 행정 구역 외 6개 권역으로 구분
- 華北區 - 중국의 행정, 문화의 중심지
- 東北區 - 농산물, 광물자원이 풍부하고 중공업이 발달
- 璜區 - 가공공업 위주의 공업중심지
- 中南區 - 자원이 풍부한 개방 중심지
- 西南區 - 농업 및 광물자원 풍부
- 西北區 - 전국토의 32%를 차지하나 인구는 7%에 불과한 낙후지역
※ 광대한 면적을 자랑하는 중국은 각 지역마다 역사적 배경, 기후, 문화가 다르지만 크게 나누어 보면 화북(華北), 화중(華中), 화남(華南), 동북(東北), 서북(西北), 서남(西南)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화북지역]은 중국 대륙의 동쪽에 위치한 화북대평원과 황하 중류에서 하류까지를 포함한 지역으로 북으로는 내몽고 자치구에서 하북성(河北省), 산서성(山西省), 산동성(山東省), 하남성(河南省), 북경과 천진을 포함한다. 이 지역은 황하를 중심으로 문화가 발달하였고 그 문화를 바탕으로 중국 역사의 중심지가 되었기 때문에 명승유적지가 많다. 중국의 역사를 느끼고 싶은 여행객들에게 좋은 지역이다
[화중지역]은 장강(양자강)을 중심으로 호수와 산이 많은 지역으로 자연경관이 빼어난 곳이 많다. 이 지역에서 유명한 곳은 상해와 경치가 볼만한 항주, 소주 등이 있다.
[화남지역]은 중국대륙의 남쪽 해안선을 따라 퍼진 지역으로 북쪽으로는 형산(衡山), 노산(盧山)을 중심으로 한 경치가 좋은 산악지역과 화남지역 최대의 도시인 광주(廣州), 자연경관이 아름답기로 유명한 계림(桂林) 등이 있다.
[동북지역]은 길림성(吉林省), 흑룡강성(黑龍江省), 요녕성(遼寧省)의 3성을 중심으로 한 지역으로 북쪽은 흑룡강을 경계로 러시아와 서쪽은 몽고, 동남쪽은 북한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이 지역은 현재 경제 발전이 활발한 곳으로 길림, 하얼빈, 심양 등이 있다.
[서북지역]은 당나라의 수도였던 서안(西安-장안)과 실크로드를 포함한 지역으로 동서로 3000㎞에 걸친 광활한 지역. 이 지역은 여름에는 40℃를 넘고 겨울에는 영하 10℃이상으로 떨어지는 기온변화가 큰 곳이다. 서안, 돈황(敦煌), 우루무치 등이 유명하다.
1) 인구 총수(人口 總數): 12억 9,533만 명 (세계인구의 약 1/5) (2003년 현재)
2) 인구 정책(人口 政策): 한 자녀 갖기, 「만혼, 만육, 소생, 우생」정책 실시
3) 인구 증가율(人口 增加率): 1.006 %
4) 인구 밀도(人口 密度): 125명 / ㎢
전체인구의 70%가 국토면적의 30%를 차지하는 동부연해 및 경작이 유리한 평원, 분지에 거주하며 지역별로는 동부 및 중남부지역에 총인구의 57%가 집중되어 있다.
중국과학원에서는 2025년에 중국인구가 15억 명을 넘어서리라는 예상과 함께 한계인구를 16억 명으로 추정하고 법으로 '1가구 1자녀'의 산아제한 운동을 벌이고 있다. 이 법을 어기면 직장에서 심한 불이익을 당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중국인들의 남아선호사상은 정부의 산아제한정책에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간혹 허용된 자녀 수를 벗어나 낳은 자녀를 제때에 호적에 올리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아이를 '헤이하이쯔(黑孩子)'라고도 하는데 사회적으로 상당한 문제가 되고 있다. 산아제한제도는 특히 한족에게는 엄격하게 적용되고 있으나 소수민족에게는 인구수에 따라 융통성 있게 적용되고 있다.
1) 한족(漢族): 1,099만 명(91.02%)
2) 소수민족(少數民族): 55개 민족 8,579만 명
- 장족: 1550만 명, 만주족: 980만 명, 회족:860만 명, 묘족:740만 명, 조선족:192만 명
※ 중국은 전 인구의 92%가 한족이며 그 외 55개의 소수민족이 있다. 55개 소수 민족 중에서는 장족이 인구가 가장 많은 소수민족으로 90년 인구조사 시 1,549만 명이었다. 그 밖에 회족, 위구르족, 티베트족의 비중이 큰 편이며 중국 정부는 주요 소수민족에 대해 자치권을 확대해 주고 있다.
1) 중국어(中國語) : 漢語(普通話)
2) 표준어(標準語) : 수백년동안 사용한 北方官話를 기초 방언으로, 북경어를 표준음으로, 현대의 모범적인 구어를 어법 표준으로 함.
표준 중국어로서, 중국에서는 보통화라고 한다. 공식문자는 간체자이고, 이는 1950년대 이후 중국에서 원래 한자의 모양을 간략하게 만든 것으로써, 기본적인 한자를 어느 정도 아는 사람이라면 간체자를 알아보는데 큰 무리가 없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국어는 한족이 사용하는 한어를 가리키는데 4가지로 음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성조가 있어 음악적으로 들린다.
중국은 1958년부터 '한어병음방안'을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은 알파벳 자모를 차용하여 중국음을 표기하는 방법으로 세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중국은 국토가 넓고 인구가 많기 때문에 방언이 매우 발달되어 있다. 대표적인 중국방언은 7종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이 중 북방방언은 현대 중국표준어의 모태이다.
우리나라 방언이 의사소통의 문제가 없는 지방적 특징에 불과한 반면 중국 방언은 방언과 차방언이라는 등급이 있어 좀 더 복잡한 양상을 띤다. 대개의 방언은 한족언어에서 갈라져 나왔으나 대화를 할 때에는 통역을 내세워야 할 만큼 의사소통이 안된다.
중국의 음식문화는 5천 년의 역사 속에서 하나의 국가가 설립되고 왕조가 구축되면서 새로운 풍습과 음식문화를 형성하였고. 수천 년의 전통을 이어오면서 중화민족 문화의 한 부분으로 형성되어온 중국의 음식문화 안에는 중화인의 사상, 도덕관념, 민족심리, 생활방식, 신앙과 예절이 어우러져 있다. 중국에서는 의식주(衣食住) 대신에 식의주(食衣住) 라는 말이 보편적으로 쓰일 정도로 중국인들은 식생활 향상에 가장 먼저 신경을 쓴다. 중국인의 음식섭취 목적은 단순히 맛있는 음식을 탐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과 장수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의식동원(醫食同源)이라고 하는데 즉, 의약과 음식은 본래의 그 뿌리가 하나라는 의미로 중국에서는 음식으로 몸을 보신하고 병을 예방하여 치료하고 장수한다는 인식이 보편화되었다.
1) 몬순기후(몬순氣候) - 4계절이 분명하고 우기와 더위가 일치함.
2) 현저한 대륙성 기후(大陸性氣候) - 온도와 강우량의 변화율이 크고 고저의 차이가 큼.
※ 중국은 땅이 넓고 지형이 복잡한 만큼 기후도 매우 다양하다. 동북지방은 겨울이 길고 여름이 짧으나 남부지방인 海南省(해남성)은 여름이 길고 겨울이 짧다.
또 동부의 연해지방은 사계절이 뚜렷하며 온난습윤하다. 중국은 내륙으로 갈수록 건조하여 新疆(신강)타림분지는 연간 강우량이 10mm도 안된다.
중국 국토의 대부분은 온대몬순권이지만 해남성 같은 곳은 연평균 기온이 24°C인 아열대 기후이고 북부의 흑룡강성은 연평균 기온이 4도c로 냉대기후권에 속하는 등 남북으로 큰 기후 차이가 있다.
이밖에 북서부 청해, 티베트,신강지역,내몽고 지역은 고산건조기후를 보인다.
※ 과거 중국의 화폐는 내국인용 화폐인 人民幣(인민폐)와 외국인용 화폐인 外匯兌換券(외회태환권)의 두가지 종류가 있었으나, 95년 1월 1일부터는 공식적으로 인민폐 만을 사용하고 있다.
수표를 제외하고 가장 고액권인 지폐는 100元짜리이며 그 밑으로 50元 ,20元, 10元, 5元, 2元, 1元과 5角, 2角, 1角 등이 있다. 분(分)단위의 화폐도 동전 및 지폐가 있기는 하나 실제생활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인민폐(RMB)로써, 단위는 원(元), 각(角), 분(分)이다. 1元은 10角이고 100分이다. 1위엔은 우리돈으로 160원 정도에 해당된다.
보조통화로 (자아오)와 (펀)이 사용되며, 일상 생활에서는 위엔을 (콰이)와(마오)로 부른다. 1콰이: 위안=10마오정도이고, 1마오=쟈오=1-펀으로 펀이 가장 낮은 화폐단위이다.
) 신정(元旦): 양력 1월 1일 (1일간 휴무)
2) 구정(春節): 음력 1월 1일 (우리나라의 설과 같으며 3일간 휴무)
3) 노동절(勞動節): 양력 5월 1일 (근로자의 날로 1일간 휴무)
4) 건국기념일(國慶節): 10월 1일 (중국최대의 국경일로 2일간 휴무)
5) 기타 절기(基他 節期)
- 정월대보름(元宵節), 단오(端午節), 칠월 칠석(七夕), 추석(仲秋節), 섯달 그믐(除夕)등의 절기가 있으나 모두 민간절기로 휴무일은 상기한 국경일 휴가 7일이 전부임.
※ 수 도: 北京 (인구 1,382만 명, 2001년 현재)
1) 북경(北京): 3천년 역사의 고도, 중국의 수도
2) 상해(上海): 중국최대의 상업도시(항구)
3) 천진(天津): 북부 최대의 항구(뻬이징의 해상관문)
4) 광주(廣州): 남쪽 연안도시의 중심으로 가장 먼저 개방한 도시
5) 청도(靑島): 최근 급부상 하고 있는 경제 중심지